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git

git commit의 사용 방법과 예시

by 워킹독 2023. 5. 18.
728x90

사용 방법:

  • git add <file>
    •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 <file>은 변경된 파일의 경로
  • git add .
    • 변경된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 git commit -m "Commit message"
    •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들을 커밋하여 저장소에 기록
    • "Commit message"는 커밋 메시지로, 변경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

예시

가정: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index.html 파일이 있으며, 이를 수정한 후 커밋하려고 합니다.

1. 변경 내용 확인:

현재 변경된 파일을 확인합니다.

2. 변경 내용 스테이징:

index.html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합니다.

3. 커밋 생성: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을 커밋하여 저장소에 기록합니다. 커밋 메시지는 "Update index.html"로 작성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하고 커밋을 생성하여 Git 저장소에 변경 내용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커밋은 버전 관리와 변경 이력 추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추가로, 커밋을 수정하거나 이전 커밋으로 되돌리는 등의 고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git commit --amend, git reset, git revert 등의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명령들은 더욱 복잡한 시나리오에서 활용됩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내용들

 

▼git commit --amend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https://workingdog.tistory.com/109

 

git commit --amend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git commit --amend 최신 커밋을 수정하고 추가 변경 사항을 포함하여 커밋을 재작성하는 명령 최근 커밋에 대한 메시지 수정, 변경된 파일 추가 등을 수행할 수 있음 사용 방법 주의: git commit --amend를

workingdog.tistory.com

 

▼git reset 사용법과 예시▼
https://workingdog.tistory.com/110

 

git reset 사용법과 예시

git reset Git에서 커밋과 관련된 작업을 조작하는 명령어 주로 이전 커밋으로 되돌리거나 커밋을 삭제하는 데 사용 사용 방법과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reset : 특정 커밋 이전으로 되돌림

workingdog.tistory.com

 

▼git reset 옵션 설명 및 사용방법▼
https://workingdog.tistory.com/111

 

git reset 옵션 설명 및 사용방법

1. git reset --soft 커밋 취소 후 스테이징 영역 유지 가장 최근의 커밋을 취소하고, 해당 커밋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 유지합니다. 2. git reset --mixed (기본 옵션) 커밋 취소 후 스테이징 영역

workingdog.tistory.com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reset 사용법과 예시  (0) 2023.05.18
git commit --amend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5.18
repo sync 옵션 종류와 사용 설명  (0) 2023.05.17
repo sync 정의와 사용법  (0) 2023.05.17
repo init 정의와 사용법  (0) 2023.05.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