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3

git pull 사용법과 설명 (원격저장소 관리) git pull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와서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에 병합하는 역할 실제로는 git fetch와 git merge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과 동일 git pull을 사용하면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로컬에 업데이트하고, 자동으로 병합 작업을 수행 아래에 git pull 명령어의 자세한 설명과 함께 옵션 git pull : 특정 원격 저장소의 특정 브랜치에서 변경 사항을 가져와서 병합 git pull origin main git pull --rebase : 가져온 변경 사항을 로컬 브랜치에 적용하기 전에 리베이스 작업을 수행 git pull --rebase origin main git pull --ff-only : Fast-forward 병합만 허용하고, Non-Fast-f.. 2023. 6. 1.
git fetch 사용법과 설명 (원격저장소 관리) git fetch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오는 역할 git fetch를 실행하면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와 커밋 정보를 로컬 저장소에 업데이트하고,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음 로컬 작업 트리를 변경하지 않으며, 가져온 변경 사항을 로컬에서 병합하거나 검토하기 전에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아래에 git fetch 명령어의 자세한 설명과 함께 예시 git fetch :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옴 git fetch origin git fetch --all : 모든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옴 git fetch --all git fetch --prune : 로컬에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원격 브랜치를 제거 git fetch --prune git fetc.. 2023. 5. 31.
(git branch) 브랜치 사용방법 (10가지 옵션) git branch Git에서 브랜치를 생성, 관리 및 조회하기 위한 명령어 브랜치는 Git 저장소에서 작업의 흐름을 분리하여 병렬로 작업할 수 있게 해주는 독립적인 작업 공간 아래에서 git branch 명령어와 함께 사용되는 주요 옵션과 예제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git branch : 현재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 목록을 조회 git branch git branch :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 git branch new-feature git branch -d : 지정된 브랜치를 삭제 git branch -d old-feature git branch -m : 브랜치의 이름을 변경 git branch -m old-feature new-feature git branch -r :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목록을 조회.. 2023. 5. 25.
(git branch) 브랜치 추가 옵션 4가지 (--create-reflog, --track, --set-upstream-to, --unset-upstream) git branch --create-reflog : 브랜치의 참조 로그(reflog)를 생성 브랜치에서 수행한 모든 작업의 기록을 보관하는데 사용 git branch --create-reflog git branch --track : 로컬 브랜치를 원격 브랜치와 연동 원격 브랜치의 변경 내용을 추적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음 git branch --track origin/feature-branch feature-branch git branch --set-upstream-to= : 로컬 브랜치를 특정 원격 브랜치와 연결 git push와 git pull 명령에서 기본 업스트림(upstream) 브랜치로 설정 git branch --set-upstream-to=origin/feature-branch feature.. 2023. 5. 24.
git revert 모든 옵션과 사용법 git revert 옵션 --edit : 커밋 메시지를 편집하기 위해 기본 텍스트 편집기가 열림 기본적으로 Git은 커밋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텍스트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기본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커밋 메시지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no-edit : 커밋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지 않고 기본적인 커밋 메시지를 사용 커밋을 취소하는 새로운 커밋을 생성할 때 커밋 메시지를 직접 편집하는 대신 Git이 자동으로 커밋 메시지를 생성합니다. 커밋 메시지에는 변경 내용의 요약과 커밋을 취소하는 이유가 포함됩니다. -n, --no-commit : 변경 내용을 취소한 후 새로운 커밋을 자동으로 생성하지 않음 변경 내용은 스테이징 영역에 유지되며 커밋되지 않습니다.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한 후 원하는 시점에서 .. 2023. 5. 19.
git revert 명령어 사용법과 설명 git revert git revert는 Git에서 커밋을 취소하는 명령 커밋을 되돌리는 대신 새로운 커밋을 생성하여 이전 커밋의 변경 내용을 취소하는 방식으로 작동 커밋 이력이 변경되지 않고 변경 내용의 취소가 기록 git revert의 사용 방법과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revert : 특정 커밋의 변경 내용을 취소하는 새로운 커밋을 생성 은 변경 내용을 취소할 대상 커밋을 가리키는 커밋 해시, 브랜치, 또는 태그입니다. 주의 사항 git revert 명령은 이전 커밋을 취소하는 새로운 커밋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커밋 이력이 변경되며, 이미 원격 저장소에 푸시한 경우 해당 변경 내용이 공유됩니다. git revert를 사용하여 커밋을 취소하면 원하는 변경 내용을 새로운 커밋으로 생성하므.. 2023. 5. 19.
git reset 옵션 설명 및 사용방법 1. git reset --soft 커밋 취소 후 스테이징 영역 유지 가장 최근의 커밋을 취소하고, 해당 커밋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 유지합니다. 2. git reset --mixed (기본 옵션) 커밋 취소 후 스테이징 영역 제거 가장 최근의 커밋을 취소하고, 해당 커밋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서 제거합니다. 3. git reset --hard 커밋 취소 후 변경 내용 완전 삭제 가장 최근의 커밋을 취소하고, 해당 커밋의 변경 내용을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에서 완전히 삭제합니다. 4. git reset --merge 병합된 커밋 취소 가장 최근의 병합된 커밋을 취소하고, 해당 병합의 변경 내용을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에서 제거합니다. 5. git reset --hard HEA.. 2023. 5. 18.
git reset 사용법과 예시 git reset Git에서 커밋과 관련된 작업을 조작하는 명령어 주로 이전 커밋으로 되돌리거나 커밋을 삭제하는 데 사용 사용 방법과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reset : 특정 커밋 이전으로 되돌림 은 되돌릴 대상 커밋을 가리키는 커밋 해시, 브랜치, 또는 태그 git reset --hard : 특정 커밋 이전으로 되돌리고, 변경된 내용을 완전히 삭제 --hard 옵션은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의 변경 내용을 모두 삭제 git reset --soft : 특정 커밋 이전으로 되돌리고, 변경된 내용은 스테이징 영역에 유지 --soft 옵션은 작업 디렉토리의 변경 내용을 유지하며,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변경 내용을 커밋하지 않음 git reset --mixed : 특정 커밋 이전으로 되돌리.. 2023. 5. 18.
git commit의 사용 방법과 예시 사용 방법: git add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은 변경된 파일의 경로 git add . 변경된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git commit -m "Commit message"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들을 커밋하여 저장소에 기록 "Commit message"는 커밋 메시지로, 변경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 예시 가정: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index.html 파일이 있으며, 이를 수정한 후 커밋하려고 합니다. 1. 변경 내용 확인: 현재 변경된 파일을 확인합니다. 2. 변경 내용 스테이징: index.html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합니다. 3. 커밋 생성: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을 커밋하여 저장소에 기록합니다. 커밋 메시지는 "Update index.html"로 작성되었습.. 2023. 5. 18.
728x90
반응형